페트뤼스 플란시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는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 천문학자, 그리고 목사였다. 그는 1592년 세계 지도를 제작하고,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헨리 허드슨과 같은 탐험가들과 협력했다. 플란시우스는 천문학에도 기여하여, 남반구 별자리를 도입하고, 새로운 천문 관측을 지원했다. 그는 또한 항해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62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지리학자 - 니콜라스 빗선
니콜라스 빗선은 17세기 후반 네덜란드의 정치가, 지도 제작자, 조선 기술자, 예술 후원가로, 러시아 외교 협상 참여, 시베리아 지도 제작, 조선 기술 서적 저술, 잉글랜드 횡단 계획 참여, 예술 및 과학 후원 등의 활동을 펼쳤다. - 네덜란드의 회사 설립자 - 안토니 포커
안토니 포커는 네덜란드 태생의 항공기 설계자이자 제작자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을 위해 혁신적인 전투기를 제작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프로펠러 회전과 동기화된 기관총 발사 장치를 개발하고 전쟁 후에는 민간 항공기 제작과 미국 항공기 회사 설립에 기여했다. - 플란데런인 지도 제작자 -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는 16세기 유럽의 지도 제작자,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로, 항해에 유용한 메르카토르 도법 개발과 세계 지도첩 《아틀라스》를 '아틀라스'라는 명칭으로 처음 출판하여 지도 제작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플란데런인 지도 제작자 -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는 1527년 안트베르펜에서 태어나 유럽을 여행하며 지리학에 입문, 1570년 《세계의 무대》를 출판하고 스페인 궁정 지리학자로 임명되었으며, 대륙 이동설을 최초로 제안한 인물 중 한 명이다.
페트뤼스 플란시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피터르 플라테보트 |
출생 | 1552년, 드라노우테르,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
사망 | 1622년 5월 15일 |
국적 | 플랑드르 |
분야 | 천문학 지도 제작 신학 |
직장 | 네덜란드 개혁 교회 |
학문 | |
사사 | 콘라트 포르스티우스(Końradŭ P’orŭsŭt’iusŭ) |
경력 | |
알려진 업적 | 네덜란드 지도 제작 |
2. 지도 제작
1592년, 플란시우스는 "Nova et exacta Terrarum Orbis Tabula geographica ac hydrographica"라는, 가장 잘 알려진 세계 지도를 출판했다. 현재 이 지도의 사본은 단 하나만 남아 있으며, 발렌시아의 코퍼스 크리스티 신학원에 보관되어 있다. 이 사본은 방문객에게 쉽게 공개되지 않는다.[1] 그는 얀 휘헨 판 린스호텐의 인기 있는 저서 ''Itinerario''(1596)에 게재된 지도, ''Exacta & accurata delinatio… regionibus China, Cauchinchina, Camboja, sive Champa, Syao, Malacca, Arracan & Pegu''를 제작했다.[2]
2. 1. 초기 지도 제작 활동

1592년, 플란시우스는 'Nova et exacta Terrarum Tabula geographica et hydrographica'(새롭고 정확한 지리학 및 수계 지리학적 세계 지도)라는 제목의 세계 지도를 출간하였다. 그는 지도 외에도 저널과 항해 안내서를 출간하고 경도를 알아내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으며, 항해도를 위한 메르카토르 도법을 도입하였다.[1]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창설자 중 한 명이었던 플란시우스는 회사를 위해 100매가 넘는 지도를 그렸다. 그는 신대륙 탐험가인 헨리 허드슨과 친분이 있었다.[2]
2. 2. 항해술 발전 기여
1592년, 플란시우스는 'Nova et exacta Terrarum Tabula geographica et hydrographica'(새롭고 정확한 지리학 및 수계 지리학적 세계 지도)라는 제목의 세계 지도를 출간하였다. 그는 지도와는 별개로 저널과 항해 안내서를 출간하고 경도를 알아내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 냈고, 항해도를 위한 메르카토르 도법을 도입하였다.[1]
그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창설자 중 하나였으며, 이를 위해 100매의 지도를 그리기도 했다. 플란시우스는 신대륙의 탐험가인 헨리 허드슨과 친분이 있었다.[2]
2. 3.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와의 협력
플란시우스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창설자 중 한 명이었으며, 이를 위해 100개 이상의 지도를 그렸다.[1] 그는 신대륙 탐험가인 헨리 허드슨과 친분이 있었다.[1]2. 4. 신대륙 탐험 지원
1592년, 플란시우스는 'Nova et exacta Terrarum Tabula geographica et hydrographica'(새롭고 정확한 지리학 및 수계 지리학적 세계 지도)라는 제목의 세계 지도를 출간하였다. 그는 지도와는 별개로 저널과 항해 안내서를 출간하고 경도를 알아내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 냈고, 항해도를 위한 메르카토르 도법을 도입하였다.
그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창설자 중 하나였으며, 이를 위해 100매의 지도를 그리기도 했다. 플란시우스는 신대륙의 탐험가인 헨리 허드슨과 친분이 있었다.[1][2]
3. 천문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는 천문학, 특히 남반구 별자리를 유럽에 소개하고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589년, 플란시우스는 암스테르담의 지도 제작자 야콥 판 랑렌과 협력하여 지름 32.5cm의 천구의를 제작했다. 이 천구의에는 남십자자리, 남쪽삼각형자리, 마젤란 은하(큰마젤란 은하와 작은마젤란 은하)가 묘사되어 있다. 이는 제한적인 정보에 기초했지만, 남쪽 하늘의 모습을 담아내려는 초기 시도였다.
소행성 10648 플란시우스는 천문 및 지리 지도 제작에 대한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10]
3. 1. 남반구 별자리 도입
1589년,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는 암스테르담의 지도 제작자 야코프 플로리스 판 랑그렌과 협력하여 32.5cm의 천구를 제작하였는데, 여기에는 남십자자리, 남쪽삼각형자리, 마젤란 은하(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등이 처음으로 그려졌다.[16][17] 그러나 이 천구의에 그려진 남십자자리와 남쪽삼각형자리는 실제 위치와는 차이가 있었다.1595년, 플란시우스는 '홀란디아' 호의 1등항해사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에게 남쪽 하늘의 천체를 관측하여 천구의 남극 부근의 빈 곳을 채우도록 요청하였다. 케이세르는 이듬해 자와섬에서 사망하였으나, 탐험 동료인 프레데리크 더 호우트만의 도움으로 135개 별의 목록을 플란시우스에게 전달했다.[3] 플란시우스는 이 목록을 바탕으로 12개의 새로운 남쪽 별자리를 1597년 후반 또는 1598년 전반에 제작된 35cm의 천구에 새겨 넣었다.[4] 이 천구는 암스테르담의 지도 제작자 '큰' 요도퀴스 혼디우스와 협력하여 제작하였다.
플란시우스가 새로 도입한 별자리들은 다음과 같다.
별자리 이름 | 현재 사용 여부 | 비고 |
---|---|---|
파리자리 | O | 원래 벌(Apis)이었으나 라카유에 의해 변경됨 |
극락조자리 | O | |
카멜레온자리 | O | |
황새치자리 | O | |
두루미자리 | O | |
물뱀자리 | O | |
인디언자리 | O | |
공작자리 | O | |
봉황자리 | O | |
남쪽삼각형자리 | O | |
큰부리새자리 | O | |
날치자리 | O |
이 별자리들은 대부분 박물학 서적이나 여행자의 일기에서 묘사된 대상들로부터 따온 것이다. 이들은 1592년 플란시우스가 대형 벽걸이 세계 지도에서 소개한 비둘기자리와 함께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문도 우라노메트리아에 포함되었다.
1612년(또는 1613년), 플란시우스는 피테르 판 더 케이레가 제작한 26.5cm의 천구에 8개의 별자리를 추가로 소개했다.[18] 이들은 남쪽파리자리, 기린자리, 작은게자리, 티그리스강자리, 수탉자리, 요르단강자리, 외뿔소자리, 남쪽화살자리였다.[14] 이 중 기린자리와 외뿔소자리만이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현재까지 인정받고 있다.[7]
3. 2. 케이세르와 하우트만의 관측 지원
1595년, 플란시우스는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에게 유럽 남쪽 하늘의 천문도에서 비어 있는 천구의 남극 부근을 채워 줄 것을 요청하였다. 케이세르는 이듬해 자와섬에서 사망하였으나, 탐험 동료인 프레데리크 더 호우트만의 도움으로 135개 별의 목록을 작성하여 플란시우스에게 전달했다.[16][17] 플란시우스는 이 목록을 바탕으로 12개의 새로운 남쪽 별자리를 1597년 후반 또는 1598년 전반에 제작된 35cm 천구에 새겨 넣었다. 이 천구는 암스테르담의 지도 제작자 요도퀴스 혼디우스와 협력하여 제작하였다.플란시우스가 새로 추가한 별자리들은 대부분 박물학 서적이나 여행자의 일기에서 묘사된 대상들로부터 따온 것으로, 파리자리(원래 벌을 의미하는 'Apis'였으나 라카유에 의해 변경됨), 극락조자리, 카멜레온자리, 황새치자리, 두루미자리, 물뱀자리, 인디언자리, 공작자리, 봉황자리, 남쪽삼각형자리, 큰부리새자리, 날치자리 등이다. 이 별자리들은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문도 우라노메트리아에 포함되었다.[17]
3. 3. 플란시우스가 도입한 별자리
플란시우스는 1597년 말이나 1598년 초에 요도퀴스 혼디우스와 협력하여 제작한 천구의에 12개의 새로운 남쪽 별자리를 도입했다.[17] 이 별자리들은 대부분 박물학 서적이나 여행자들의 일기에 묘사된 대상들에서 따온 것으로, 파리자리(원래 벌을 의미하는 'Apis'였으나 라카유에 의해 변경됨), 극락조자리, 카멜레온자리, 황새치자리, 두루미자리, 물뱀자리, 인디언자리, 공작자리, 봉황자리, 남쪽삼각형자리, 큰부리새자리, 날치자리가 있다.[16] 이 별자리들은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문도 우라노메트리아에 포함되었다.1612년(또는 1613년), 플란시우스는 피테르 판 더 케이레가 제작한 천구의에 8개의 별자리를 추가로 도입했다.[18] 이들은 남쪽파리자리, 기린자리, 작은게자리, 티그리스강자리, 수탉자리, 요르단강자리, 외뿔소자리, 남쪽화살자리였으며,[18] 이 중 현대 별자리에서는 기린자리와 외뿔소자리만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인정된다.
3. 4. 추가 별자리 도입
1589년, 플란시우스는 암스테르담의 지도 제작자 야코프 플로리스 판 랑그렌과 협력하여 32.5cm의 천구를 제작했는데, 여기에는 남십자자리, 남쪽삼각형자리, 마젤란 은하(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가 처음으로 그려졌다.[16][17]1595년, 플란시우스는 '홀란디아' 호의 1등 항해사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에게 남쪽 하늘의 천문도에서 비어 있는 천구의 남극 부근을 관측하여 채워 올 것을 요청하였다. 케이세르는 이듬해 자와섬에서 사망하였으나, 탐험 동료인 프레데리크 더 호우트만의 도움으로 135개 별의 목록을 플란시우스에게 전했다. 플란시우스는 이 목록을 바탕으로 12개의 새로운 남쪽 별자리를 1597년 후반 또는 1598년 전반에 제작된 35cm의 천구에 새겨 넣었다. 이 천구는 요도퀴스 혼디우스와 협력하여 제작되었다.[16][17]
플란시우스가 추가한 별자리는 다음과 같다:
- 파리자리(라카유에 의해 'Musca'로 변경되기 전에는 벌을 의미하는 'Apis')
- 극락조자리
- 카멜레온자리
- 황새치자리
- 두루미자리
- 물뱀자리
- 인디언자리
- 공작자리
- 봉황자리
- 남쪽삼각형자리
- 큰부리새자리
- 날치자리
이 별자리들은 대부분 박물학 서적이나 여행자의 일기에서 묘사된 대상들로부터 따온 것이다. 이 별자리들은 플란시우스가 1592년 대형 벽걸이 세계 지도에서 소개한 비둘기자리와 함께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천문도 우라노메트리아에 포함되었다.
1612년(또는 1613년), 플란시우스는 피테르 판 더르 케이레가 제작한 26.5cm의 천구에 8개의 별자리를 추가로 소개했다. 이들은 북쪽파리자리, 기린자리, 작은게자리, 티그리스강자리, 수탉자리, 요르단강자리, 외뿔소자리, 남쪽화살자리이다.[18] 이 중 기린자리와 외뿔소자리만이 현대 별자리에서 인정받고 있다.
4. 생애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는 현재 벨기에의 플란데런주 베스트플란데른주 호에벨란트 지방 드라누터르 마을(Dranouter)에서 피터 플라테부트(Pieter Platevoet)로 태어났다.[1] 혼쇼테 학교에서 공부한 후, 영국에서 수학, 천문학, 지리학, 신학, 역사학과 외국어를 배웠다.[1] 그는 전공했던 라틴어를 따라 이름을 페트뤼스 플란시우스(Petrus Plancius)로 바꾸었다.[1]
1585년 암스테르담으로 이주한 플란시우스 부부는 8명의 자녀를 두었다.[1]
플란시우스는 자연 과학, 항해와 지도 제작에 대한 관심을 키워, 1590년에 메르카토르의 지도를 개량한 5개의 네덜란드어판 지도를 출판했다.[1] 1592년에는 스페인 국왕의 지도 제작자였던 바르톨로메우 라수의 해도를 포르투갈에서 수입하여, 당시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Nova et exacta Terrarum Tabula geographica et hydrographica''를 제작했다.[1]
1594년, 플란시우스는 동인도와의 향신료 무역을 위해 암스테르담 상인들이 설립한 원거리 회사에 조언했다.[1]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해군력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함대 사령관 빌렘 바렌츠에게 천측 항법으로 북아시아를 도는 미지의 항로를 갈 것을 권장했으나, 1595년부터 1597년에 걸친 세 번의 시도에도 북동 항로는 발견되지 않았다.[1]
같은 무렵, 남쪽 항로 개척에도 상인들은 플란시우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 플란시우스는 시몬 스테빈과 함께 나침반의 자침 불일치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았다.[1] 그는 프레데릭 데 하우트만에게 천체 측량을 가르치고, 페테르 케이세르에게 남쪽 하늘의 성도 제작을 위한 천체 관측을 의뢰하며 편차 보정용 관측 기기(아마도 천구의)를 주었다.[1] 케이세르는 자바섬 반텐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관측 결과는 하우트만에 의해 전달되었다.[1] 1595년부터 1597년까지의 최초 동인도 원정은 상업적으로 실패했다.[1] 249명의 승무원 중 87명만이 생존했고, 역병과 현지 주민과의 싸움으로 많은 수가 목숨을 잃었으며, 후추와 육두구 구매량도 적었다.[1] 그러나 상인들은 이를 동아시아 무역의 시작으로 여겨 포르투갈의 향신료 무역 독점을 깨뜨렸다.[1]
4. 1. 종교 활동
개혁파 교회의 목사로 1576년에 24세의 나이로 임명받아 전국을 돌아다니며 전도를 했다.[1] 합스부르크가의 지배하에 놓였고, 엄격한 가톨릭으로 알려진 펠리페 2세가 네덜란드 왕으로 군림했던 80년 전쟁 당시에는 매우 위험한 행동이었다.[1] 메헬렌, 브뤼셀, 루벤 등에서 7년 동안 활동했다.[1] 이 기간 동안 1579년에 미망인 요한나 거벨스(Johanna Geubels)와 결혼했다.[1] 1585년에 알레산드로 파르네세가 베르겐 옵 좀을 점령하자, 종교 재판을 피하기 위해 암스테르담으로 도망쳐 그곳에서 설교가로 임명되었다.[1]플란시우스는 천문학과 신세계, 동인도에 시간을 많이 쏟아 설교 준비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 1599년에는 선원들에게 설교를 시작했고, 1602년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설립된 후에는 신학에 더 힘썼다.[1] 1603년 이전에 예정설로 종교를 바꾸었고, 알미니우스주의와 더 격렬하게 싸웠다.[1] 1609년에는 뒤스부르크 출생의 인문주의 사제에 맞서기 위해 알크마르로 갔다.[1] 1610년에는 반 레몬스트란트파의 리더가 되었고, 도르트레흐트 회의의 개최를 촉구했다.[1] 1618년에 개최된 회의에는 그의 불관용이 원인이 되어 초청받지 못했지만, 성경의 개정을 인정받았다.[1]
4. 2. 알미니우스주의와의 논쟁
플란시우스는 예정설을 지지하며 알미니우스주의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1603년 이전에 그는 예정설로 종교를 바꾸었다.[7] 1609년에는 뒤스부르크 출신의 인문주의 사제 Adolf Venator|아돌프 베나토르nl에 맞서기 위해 알크마르로 갔다.[7] 1610년, 플란시우스는 Contraremonstranten|반 레몬스트란트파nl의 리더가 되었고, 도르트레흐트 회의 개최를 촉구했다.[7] 1618년에 개최된 회의에는 그의 불관용이 원인이 되어 초청받지 못했지만, 성경의 개정을 인정받았다.[7]4. 3. 말년
플란시우스는 네덜란드 서인도 회사 설립에 관여했으며, 헨리 허드슨과도 관계가 있었다.1622년 5월 15일에 사망하여 5월 25일에 매장되었지만, 그의 바람과는 달리 교회에서의 지위에 걸맞은 형태로 매장되지 못했다.
5. 유산
(빈 문서)
참조
[1]
서적
The Mapping of the World: Early Printed World Maps, 1472-1700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1993
[2]
서적
History of Cartography
http://nla.gov.au/nl[...]
Watts
1964
[3]
논문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http://adsabs.harvar[...]
1917
[4]
웹사이트
"Star Tales ― Scouting the southern sky"
http://www.ianridpat[...]
[5]
간행물
Early Explorations of the Southern Celestial Sky
1987
[6]
웹사이트
Le costellazioni di Petrus Plancius
http://www.atlascoel[...]
[7]
문서
Astronomical naming conventions#Names and boundaries of constellations
[8]
문서
これら12の星座は1603年の[[ヨハン・バイエル]]の星図『[[ウラノメトリア]]』に取り入れられたことから、現在では[[ウラノメトリア#新しい星座|バイエル星座]]とも呼ばれる。
[9]
문서
プランシウスの監修のもとにアムステルダムの地図製作者{{仮リンク|ヨドクス・ホンディウス|en|Jodocus Hondius}}がゴアの彫金を担当した。第二次世界大戦で消失したため現存していない。
[10]
웹사이트
"(10648) Plancius = 1987 QX3 = 1987 SM20 = 4089 P-L = PLS4089"
https://minorplanetc[...]
MPC
2021-08-28
[11]
웹사이트
Star Tales - Triangulum Australe
http://www.ianridpat[...]
2015-05-04
[12]
웹사이트
Star Tales - Columba
http://www.ianridpat[...]
2015-05-04
[13]
웹사이트
Star Tales - Crux
http://www.ianridpat[...]
2015-05-04
[14]
웹사이트
Star Tales - CHAPTER ONE continued...
http://www.ianridpat[...]
2016-04-11
[15]
서적
Sky Explored: Celestial Cartography 1500-1800
Theatrum Orbis Terrarum Ltd. and Alan R. Liss, Inc.
[16]
논문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http://adsabs.harvar[...]
1917
[17]
웹사이트
"Star Tales ― CHAPTER ONE continued..."
http://www.ianridpat[...]
[18]
웹사이트
Le costellazioni di Petrus Plancius
http://www.atlasco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